허발(1874~1931)선생은 일제에 강점당한 나라를 되찾기 위해 치열한 삶을 살다 간 선각자적 인물이었다.
김해에 학교를 세우고, 김해의 경제를 위해 일했고, 독립운동 자금으로 자신의 재산을 아낌없이 내놓았다. 세월이 많이 흐른 탓에 그를 기억하고 이야기를 전해줄 사람들은 대부분 세상을 떠났으나, 선생이 남긴 업적만은 김해에 오롯이 남아있다.
허발 선생은 1874년(고종 11년) 김해군 활천면 마마리 192(현 안동)에서 허관의 아들로 태어났다.
서울에서 학업을 마친 허발 선생은 고향인 김해로 내려와 곡물상과 정미소를 운영하며 사업능력을 키워나갔다. 1918년 곡식 100석을 매입하여 가난한 사람들에게 반값으로 판매했다. 구휼사업을 펼친 것이다. 이 일은 매일신보(1918년 10월 24일)에 기사로 실렸다.
1918년부터 진영에서 시작한 곡물상은 겉으로 보기엔 분명 '김해평야의 만석꾼'인 허발의 곡물상이었다. 그러나 이 곡물상을 통해 서울이며 인천 등지로 엄청난 쌀이 실려 나갔으되, 한 푼의 돈도 돌아오지 않았다. 허발의 손녀 허해옥 씨는 그 일과 관련해 이런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 "할머니에게만은 독립운동가인 '김 씨'를 만나고 왔다고 말씀하셨다 합니다. 친구들이 그 많은 쌀 판 돈을 다 어떻게 했느냐고 물으면, 서울의 기생방에 갔다왔다면서 웃으셨답니다."
할머니는 1926년 임시정부 창설 이후에야 남편에게서 '김 씨'가 김구 선생이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허발 선생은 오늘날의 김해합성초등학교를 세운 교육자이기도 했다. 김해합성초등학교 본관 입구 왼편에는 지난 1967년 '허발, 박석권 선생 공적기념비'가 세워졌다.
허발 선생은 김해를 위한 사업에도 마음을 쏟았다. 많은 업적 중에서도 낙동강에 최초로 세워진 '낙동장교(구포다리)'의 가교지점을 김해와 가까운 구포에 유치했다. 허발 선생은 낙동장교의 가교지점을 사상이 아닌 구포에 세우기 위해 심혈을 기울였다.
허해옥 씨는 "할아버지는 다리의 준공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으나, 다리가 준공된 이후 김해 사람들은 합성학교 교정에서 할아버지의 영정을 모시고 보고회를 가졌다"고 전했다. 낙동장교는 지난 2008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허발 선생은 1931년 6월 12일 세상을 떠났다. 동아일보는 '김해의 은인 허발 씨 영면, 지난 12일 56세로 합성학교장으로 거행'이라고 보도했다. 장례식에는 김해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문상객이 모여들어 허발의 죽음을 애도했다. 허해옥 씨는 "마마리 본가인 상가에서 장유의 장지까지 가는 동안 500m마다 상을 놓아 문상객을 접대했다. 5만여 명이 넘는 문상객이 몰려들었는데, 사람들마다 이런 장례는 처음 본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허발 선생의 마음은 교육·경제·사회 각 분야는 물론 독립운동에까지 고루 미쳤는데, 궁극적으로 김해사람들을 식구처럼 아꼈던 '김해의 은인'으로 기억되고 있다.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