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등재절차
세계유산 정의
- 세계유산협약이 규정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세계유산적 가치)를 지닌 유산
※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는 국가의 경계를 넘고 인류에 공통적으로 중요할 만큼 특별한 문화적 또는 자연적 중요성을 띠는 것
- OUV 평가 기준 : 완전성(등재 기준 충족), 진정성 충족, 유산의 보호 및 관리체계 구비
유네스코 등재 유산 현황
세계유산 : 167개국 / 1092건(한국 14건, 도 4건) / '23년 등재 기준
-
문화유산 845, 자연유산 209, 복합유산 38
- 해인사 장경판전('95), 종묘('95), 석굴암 불국사('95), 창덕궁('97), 수원화성('97),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00), 경주역사유적지구('00), 제주화산섬과용암동굴('07), 조선왕릉('09), 한국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10), 남한산성('14), 백제역사유적지구('15),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18), 한국의 서원('19), 한국의 갯벌('21), 가야고분군('23)
※ 잠정목록 등재 : 1,669건(한국 17건, 도 5건)(2017년 등재기준)
- 도(5건) : 남해안일대공룡화석지('02), 창녕 우포늪('11), 한국의 서원('11), 김해·함안 가야고분군('13), 한국의 전통산사('13)
인류무형유산 : 429건(한국 22건, 도 2건)(2022년 등재 기준)
- 종묘제례 및 종묘, 판소리, 택견, 가곡, 아리랑, 김장문화 등
세계기록유산 : 432건(한국 18건, 도 1건)(2023년 등재 기준)
-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해인사 고려대장경판과 제경판, 난중일기, 직지심체요절 승정원 일기, 조선왕조 의궤, 동의보감, 일성록, 5.18 민주화기록물, 새마을운동기록물, 난중일기, 한국의 유교책판, kbs특별방송기록물,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조선통신사 기록물, 4·19혁명 기록물, 동학농민혁명 기록물
※ 세계유산 가입국 : 191개국('14. 7월 기준)
등재절차
잠정목록 등재
- 잠정목록 대상유산 신청
(시·도지사, 관련기관 및 단체 → 문화재청장)
- 잠정목록 대상유산 선정
(문화재청장)
- 잠정목록 대상유산 조사
(문화재청)
- 잠정목록 등재신청 대상 확정
(세계유산분과위원회 심의)
- 잠정목록 등재신청서 제출
(문화재청장 →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
세계유산 등재
- 등재 신청을 위한 사전협의
(문화재청)
- 등재 신청서 제출
(시·도지사→문화재청장)
- 등재 신청서 검토
(서류심사 및 현지조사)
- 등재신청 유산 확정
(세계유산분과위원회 심의)
- 등재신청서 제출
(문화재청장→유네스코 사무국)
매년 2월 1일 마감
- 유네스코 자문기구
(ICOMOS, IUCN)현지조사
당해연도 조사
- 유네스코 자문기구
패널회의 및 보고서 제출
(다음해1월)
- 세계유산위원회
/ 등재결정
- 세계유산위원회 : 위원국 21개국, 위원국 임기 6년
-
유네스코 자문기구 : 후보지 심사, 등재여부권고
- ICOMOS(International Council on Monuments and Sites,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 : 본부 프랑스 파리, 국제비정부기구로 문화유산 분야 등재여부 평가
- IUCN(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 세계자연보전연맹) : 본부 스위스 글랑, 국제비정부기구로 자연유산 분야 등재여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