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초점을 받으면 키보드 화살표 상(↑)·하(↓) 키로 스크롤 할 수 있습니다. <김해분청사기> 한 줌의 흙이 빚어낸 아름다운 생명력
그 자유로운 혼을 닮은 우리의 분청사기

분청사기는 청자, 백자와는 달리 서민의 삶 속에서 함께하여 생활자기, 민족자기로 불리며 투박하지만 형태와 문양이 자유롭고 표현이 분방하면서도 박진감 넘치고, 예술성이 뛰어나 가장 한국적인 미의 원형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000년 가야토기의 역사 위에 탄생한 김해 분청사기는 생명의 근원인 흙과 불, 장인의 정성이 만들어낸 혼을 담은 그릇입니다.

분청사기란 이름은 1940년경 미술사학자 고유섭 선생이 백토로 분장하여 흑청색을 띠는 도자의 특징을 근거로 분장회청색이라고 이름 붙인데서 유래하였으며, 14세기 중엽에서 16세기 중엽 사이에 생성되었고, 15세기 전반 세종 재위 시기에 다양한 기법에 분청사기가 발전하여 전국에서 생산되었습니다. (분청사기 : 14세기 중엽~16세기 중엽 사이 생산, 15세기 전반 세종 재위 시기에 다양한 기법으로 발전)

분청사기의 특징은 백토분장기법과 그 무늬에 있는데, 정선된 백토를 그릇 표면에 바름으로써 원래의 회색태토가 드러나지 않으며 때론 태토를 바른 후 조각을 하거나 긁어내어 무늬를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분청사기는 기법에 따라 크게 7가지로 나뉘는데, 무늬를 음각으로 새긴 뒤 그 안에 백토 혹은 잡토를 넣어 장식하는 상감분청 도장을 이용하여 장식하는 인화분청 문양을 새긴 후 바탕에 흰 흙을 긁어낸 박지분청 날카로운 도구로 새긴 조화분청 철사안료를 사용한 철화분청 백토물에 덤벙 담가서 백토분장하는 담금덤벙분청 작은 빗자루나 거친 붓으로 힘 있고 빠른속도로 바르는 귀얄분청이 그것입니다.

<발생기>
14세기 중후반은 고려 상감청자에서 분청사기로 이어지는 중간단계로 흙토가 조잡하고 기벽이 두껍고 암록색을 띠었습니다.
퇴화된 상감청자의 무늬가 이어지면서 청자의 정형을 이뤄가고 분청사기로 이어지며 상감청자의 기법을 응용한 분장인화기법이 발생합니다.

<발전기>
세종대왕 추세에 분청사기는 기법상 다양한 발전을 보이며 상감, 인화, 박지, 조화 등에서 절정기를 누리게 되는데 패턴은 정선되어 밝아지고 위약은 잔머리 없이 투명하며 고려적인 전통에서 벗어나 조선적인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게 됩니다.

<쇠퇴/소멸기>
1469년 이후 관요의 영향으로 무늬는 서서히 해이해지고 유퇴의 잔물이 많이 섞여 소규모의 민영화 경향을 띄면서 귀얄기법이 증가하게 되고, 이 시기에 가마터에서는 흐트러진 인화기법과 귀얄기법의 도편이 함께 수집되는 한편 백자도 수집됨으로써 분청사기 제작의 소홀함이 현저히 나타나 쇠퇴일로를 걷다 1510년경부터 1550년경에는 귀얄기법과 분장기법이 거의 사라지고 백자로 전환하면서 분청사기는 소멸기를 맞습니다.

<현대분청사기>
분청사기는 청자와 백자사이에 단순한 과도기 양식이 아니라 15세기에서 16세기에 이르는 약 200년 동안이나 지속되면서 새로운 미학과 양식을 창출하였습니다. 분청사기의 특성은 자연주의적이고 순박한 한국인의 심성과 비슷하며 획일적인 틀을 거부하고 불안전함 속에서 생동하는 생명력을 포착하려 한다는 점에서 한국인의 기질과도 상통합니다.
한국미의 본질의 한 측면을 보여주면서도 현재성 있는 우리의 문화유산이며 자유분방하고 대범함을 지닌 분청사기의 미학은 우리의 생활 속에서 그 미감을 느끼며 발전시켜 나가야 할 예술의 정신적 모태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생산조건>
도자기를 만드는 가장 중요한 세 가지는 도자기의 몸체가 되는 좋은 흙이 있는 곳, 가마의 불을 땔 나무가 많으면서 물이 흐르는 곳, 도자기를 이동시켜 팔 고 재료를 구하기 쉬운 교통이 좋은 곳입니다. 이런 점에서 김해는 인근 지역의 산지와 비옥한 퇴적토, 낙동강을 끼고 있는 도자기 제작에 더없이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 수비
수비란, 태토, 즉 분청사기를 만들기에 적합한 흙을 얻는 과정이며, 여러가지 원료를 혼합한 후 그 속에서 풀어주고 앙금을 침전시켜 고운 입자만 채취합니다.
- 반죽
수비과정을 통해 정선된 점토는 성현 전 점토의 입자를 균일하게 하고,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한 방법으로 반죽을 합니다.
- 중심잡기
중심잡기는 물레성형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과정이며, 성형에 들어가기 전에 물레판 위에 놓인 점토의 중심을 잡아주어 흔들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 성형
물레 위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중심이 잡혀있는 점토를 이용하여 그릇의 형태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성형이며, 물레가 돌아가는 회전력, 즉 원심력과 구심력 그리고 물레의 속도를 적절히 이용한 성형 방법입니다.
- 정형
성형이 끝난 기물은 적당한 상태로 건조시켜 굽을 깎는 정형의 단계를 거칩니다.
- 장식
분청사기의 장식기법은 크게 보아 조각된 무늬 안쪽에 백토를 넣는 상감기법과 그릇 표면을 백토로 씌우는 분장기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건조
장식을 마친 기물은 굽기에 들어가기 전 충분히 건조시킵니다.
- 초벌
건조 과정을 거친 기물은 초벌건조를 통해 일정한 강도를 부여받음과 동시에 시유에 적당한 기공류를 얻게 됩니다.
-유약만들기
기물의 활성을 없애고 특정한 색과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유약이 필요하며 유약을 만들 때는 재료의 성분비율, 배합, 농도 등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유
초벌 된 기물에 유약을 입히는 과정이 시유이며 당금시유, 분무시유, 붓질시유, 흘림시유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홍범분청사기의 경우 기물을 담갔다가 빼내는 당금시유 방법을 사용합니다.
- 재벌
재벌은 유약을 녹이는 과정이며, 기물의 성형과 표면질감 등의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물제작의 최종 단계입니다.

철기시대부터 꽃을 피워온 김해지역의 도자문화는 김해토기에서 시작하여 가야토기로 이어지며 신라시대와 통일신라시대를 거쳐 면밀히 그 전통을 계승해오다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에 와서 그 아름다움의 절정을 이르게 됩니다.
조선 전기에 편찬된 여러 역사서에도 김해지역의 도자문화자료들이 남아있는데, 경상도지리지 김해도호부에는 김해의 토산 곡물이 자기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도자기를 제작하던 자기서와 도규서를 기록하고 있어 김해지역의 활발했던 유옥활동을 짐작케 합니다.
상동면 대감리 분청사기 가마는 김해 장흥고명 등이 새겨진 분청사기가 출토되어 이곳에서 공납용 자기가 생산되었음을 추측해볼 수 있으며, 함께 수습된 다수의 백자편은 인화분청사기의 전성기가 개시되는 1430년대를 시작으로 백자 제작이 본격화되는 15~16세기까지 이곳에 가마 운영과 제작품 변화를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유적입니다.

그 외에도 김해읍성, 김해 구산동, 김해 가야의 숲 분지에서 분청사기가 출토되었습니다.
잃어버린 분청사기의 빛과 색을 되찾으며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대의 분청사기 도요천으로 발전해가는 김해 1996년부터 매년 10월경에 개최되는 김해분청도자기축제는 오늘날 우리의 삶 속에서 부활한 분청사기의 예술혼과 전통을 잇는 모두가 함께하는 지역의 축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2000년 전 가야토기의 맥을 이어온 김해분청사기에서 선조들의 삶의 향기를 느끼는 것 처럼 오늘을 사는 우리의 삶은 또 다른 문화가 되어 내일로 전해질 것입니다.
김해의 분청사기를 아름답게 지켜나가는 사람들 그들이 있어 우리의 삶과 혼은 그렇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페이지담당 :
분청도자박물관
전화번호 :
055-345-6037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