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y
흙
흙은 도자기를 만드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라고 할 수 있는데 점력을 갖춘 점토로 도자기의 몸체를 이루고 유약을 만드는 재료이다. 점토는 자연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없고 채굴 후 숙성을 시켜 이용한다.
적정시간 숙성된 점토에 장석, 규석 등의 다른 원료들을 혼합한 뒤 곱게 빻거나 물에 걸러내어 태토를 만든다.
wood
나무
도자기를 만들어 가마에 넣어 구울 때 필요한 장작의 양은 엄청나다.
가마속에서1,350도 이상의 높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장작이 필요하다.
한국에서는 땔나무로 대부분 1년 동안 말린 소나무를 사용했는데 화력이 좋으며 가장 많이 자라는 이점이 있다.
traffic network
교통로
도자기가 완성된 후 생산된 도자기는 소비자가 있는 시장으로 운송하기 위해 교통로를 확보해야 한다.
도자기는 부피가 크고 이동 중 잘 깨지기 때문에 가마가 위치한 바다나 강을 이용한 수송로가 발달되어야 한다.
water
물
물은 도자기를 제작하는 처음부터 마지막 가정까지 고루 이용된다.
흙의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수비, 유약만들기, 흙을 치대어 찰기를 생기게 하는 과정, 물레질을 포함한 성형과정까지 모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