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

도자기란?

도자기는 우리 생활에서 늘 함께 하고 있는 도구 중 하나입니다.
사전적 의미로는 흙을 구워서 만든 모든 기물을 통틀어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도자기 역사는 일만 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흙, 유약, 굳기에 따라 토기, 도기, 자기, 옹기 등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흙으로 빚은 그릇은 사람들의 지혜가 발달하면서 토기에서부터 아름다운 자기로 발전해 왔습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도자기가 일상 용기로서만이 아닌 타일, 유리, 인공치아 등 폭넓은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도자기 발전단계 (陶磁器 發展段階)

우리나라 도자기는 신석기시대 토기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덧무늬토기를 시작으로 청동기시대에는 무늬가 없는 민무늬토기가 나타납니다. 이후 초기철기시대에는 아가리口緣에 점토띠를 붙여 만든 덧띠토기, 원삼국시대에는 연질토기 등이 생산되었습니다.

삼국시대가 되면 1,100도 이상의 도질토기가 제작되어 고구려·백제·신라·가야 등 독자적인 토기문화를 형성하면서 발전합니다. 고려시대가 되면서 중국을 통해 전래 된 인공적인 유약을 씌운 청자가 생산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는 분청사기와 백자가 생산되었습니다.

도자기의 종류

토기

토기는 점토를 반죽하여 불에 구워 만든 용기(用器)를 말하며, 500~1,000℃ 이하에서 구워지는 것을 말합니다.
토기는 신석기시대 농경의 시작과 함께 정착 생활을 하면서 식량 저장, 식수 보관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계층에 따라 사용하는 형태가 다르고, 음식을 담아 제사를 지내거나 죽은 자를 위해 무덤에 넣어주기도 하였습니다.

서울 암사동 유적에서 출토된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가 대표적입니다.

도기

도기는 원래 토기와 자기를 포함한 모든 그릇의 총칭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200℃ 전후 온도에서 구워진 도자기를 말합니다.
도기는 유약을 입힌 시유도기와 유약을 입히지 않은 무유도기가 존재합니다. 유약을 입히는 도기의 경우 잿물 유약인 회유(灰釉)를 시유하여 소성하며, 자기(磁器)에 비해 소성 온도가 다소 낮습니다. 도기는 자기가 출현한 이후에도 계속 생산되었으며, 저장 용기나 운반 용기로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국보 제275호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이 대표적입니다.

청자

청자는 회색 또는 회청색의 흙을 사용하고, 철분이 함유된(2~3%) 유약을 발라 1,250℃ 내외의 온도에서 구워낸 자기를 말합니다.
그릇의 표면에 입혀진 유약의 푸른빛에 따라 청자라고 이름이 붙여졌지만, 실제로 흙, 유약, 소성 시 가마 온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우리나라는 중국 청자 기술을 받아들여 고려 초부터 청자를 만들기 시작하였습니다.

국보 제68호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이 대표적입니다.

백자

백자는 순백색의 흙 위에 투명한 유약을 발라 1,200℃ 이상에서 구워 만든 자기를 말합니다.
백자는 기본이 되는 흙인 백토(白土) 자체의 백색을 드러나게 한 자기로, 백토의 상태가 완성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줍니다. 조선시대 관요(官窯)가 경기도 광주에 설치된 이유도 근처에 질 좋은 백토 광산鑛山이 있었기 때문이며, 이후 경기도 양구·경상도 사천 및 하동 등지에서 질 좋은 백토를 운반하여 백자를 생산하였습니다.

국보 제309호 ‘백자 달 항아리’가 대표적입니다.

페이지담당 :
분청도자박물관
전화번호 :
055-345-6037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