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청사기
분청사기란

분청사기(粉靑沙器)는 회색 또는 회흑색 흙 위에 백토(白土)를 분장한 뒤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자기입니다.

분청사기
분청사기

분청사기

일제강점기 미술사학자 우현 고유섭 선생(又玄 高裕燮. 1905~1944)이 청자 혹은 백자와 형태, 장식, 유약의 색깔이 비슷하지만 다른 특징을 갖춘 자기를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라고 부르게 된 것이 시작입니다. 이후 여러학자들에 의해 계승되어 분장회청사기를 줄여서 ‘분청사기’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분청사기는 14세기 후반, 청자의 뒤를 이어 시작하여 16세기 초반까지 약 150년간 제작하였고, 우리나라 도자기 중에서 가장 순박하고 민예적인 성격을 띠는 도자기가 되었습니다.

분청사기 변천

분청사기는 14세기 후반~16세기 초반까지 약 150년간 제작되면서 크게 4시기로 구분하여 그 변천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태동기(1365~1400) :

상감청자 문양이 해체 변모된 시기입니다.
강진청자 자기소 해체 이후 전국적으로 분청사기 가마터가 확산됩니다.

성립기(1400~1432) :

인화분장기법을 활용한 분청사기를 생산하던 시기입니다.
태종 17년(1417) 이후, 관아명(官衙銘)을 넣기 시작하여 분청사기에 관사명(官司銘) 또는 지방명(地方銘)이 새겨진 유물이 확인됩니다.

발전기(1432~1469) :

분청사기의 분장기법(7가지)이 모두 사용된 시기입니다.
특히, 박지·조화 기법의 사용에서 분청사기만의 특징이 드러나며, 인화분장기법의 절정기에 해당합니다.

쇠퇴기(1469~1510) :

발전기의 여운 속에서 지방색이 뚜렷해지기 시작합니다.
귀얄·덤벙 기법의 사용이 증가하며, 백자로 이행되는 시기입니다.

페이지담당 :
분청도자박물관
전화번호 :
055-345-6037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