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포털 홈
시정포털
관광포털
분야포털
공공예약포털
기업119
Good-Job
김해시의회
공공데이터
스마트도시
교통정보
국가상징
Global Navigation
홈
누리집 안내지도
상단 메뉴
여행맞춤검색
여닫기
여행맞춤정보
누구와
함께 하세요?
가족
키즈
데이트
우정女
우정男
효도
나홀로
단체
언제
떠나세요?
봄
여름
가을
겨울
무엇을
타세요?
자가용/렌트
부산-김해경전철
검색하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코스여행검색
관광·체험검색
축제검색
숙박시설검색
음식점검색
쇼핑정보검색
게시판검색
검색
김해 블로그
김해 블로그
김해 페이스북
김해 카카오스토리
김해 인스타그램
낙동강행사축제 현황
주 메뉴
주 메뉴
여닫기
주 메뉴
닫기
요즘김해
요즘김해
김해알림
이벤트
행사일정
월간일정
주간일정
일일일정
축제
대표축제
마을축제
낙동강행사축제 현황
동아시아문화도시 김해
국제슬로시티 김해
지정배경
국제슬로시티 의미
상징물 의미
김해가 추구하는 길
김해가 걸어온 길
김해 슬로마을
김해 슬로프렌즈기업
슬로시티 지역특산품
슬로라이프 실천하기
김해역사
시대별 김해역사
선사시대
가야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이후
추천여행
추천여행
가야유적탐방
4시간코스
1일코스
1박2일코스
김해시티투어
이용안내
투어코스
체험프로그램
걷고싶은길
관광지 도보코스
마을·도심 산책
스탬프투어
여권형스탬프투어
김해열린관광지
열린관광지 소개
김해가야테마파크
열린만화방 가야다움
김해낙동강레일파크
김해한옥체험관
봉하마을
스마트투어
고고가야
vr투어
경전철투어
경전철 뚜벅코스
경전철 역정보
경전철 노선/운임
한우물가게
권역별
가야의거리근교
대동면·불암동
진영읍·한림면
테마별
맛
멋
손길
백년가게
김해도보여행신청
금릉로드
금릉로드 예약신청
소로다담길
소로다담길 예약신청
김해관광택시
여행지
여행지
명소
박물관&미술관
유적지
가야유적
대성동유적
봉황동유적
가야유물 전시 박물관
자연관광
산
계곡
사찰
공원
스파
문화&체험
문화시설
문화예술시설
문화의집
극장
도서관
유원지
레저시설
골프
스포츠
레저활동
체험
캠핑장
문화유산
우리고장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도지정문화재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문화재자료
민속놀이
석전놀이
삼정동걸립치기
시립예술단
시립합창단
소개
공연연보
단원명단
시립가야금연주단
소개
공연연보
단원명단
시립청소년교향악단
소개
공연연보
단원명단
시립소년소녀합창단
소개
공연연보
단원명단
음식·숙박·쇼핑
음식·숙박·쇼핑
김해의 먹거리
김해의 맛 골목
김해의 카페거리
대표 먹거리 음식점
진영갈비
불암장어
토종백숙
글로벌푸드
동상시장 청년몰
추천음식점
안심식당
모범음식점
위생등급지정업소
향토음식 경연대회 수상업소
2019년 수상
2018년 수상
2017년 수상
2016년 수상
김해맛집
2023년 김해맛집
2022년 김해맛집
2021년 김해맛집
착한가격업소(음식점)
음식
전체
한식
중식
일식
양식
횟집
분식
퓨전
카페
기타
숙박
전체
관광호텔
일반호텔
모텔
펜션·민박
한옥체험업
쇼핑
김해시관광기념품
특산품
장군차
김해청결미
화훼
단감
칠산참외
딸기
생림-맛보우
감자
채소
참죽나무부각
도자기
산딸기
전통시장
쇼핑센터
대형마트
e경남몰
김해온몰
김해분청도자전시판매관
온라인 등록 신청
숙박점 등록신청
음식점 등록신청
여행정보
여행정보
관광홍보물
신청하기
전자책(E-BOOK )
관광안내소
김해 관광안내소
1330 안내전화
문화관광해설
문화관광해설사란
김해시 문화관광해설사
문화관광해설 신청
일반해설 안내
일반해설 예약
김해의 다양한 해설사
문화관광해설사 통합예약
여행정보
김해의 여행사
대중교통, 자가용
대중교통정보
자가용
렌트카
커뮤니티
공지사항
질문과 답변
포토갤러리
내가 찍은 김해
포토
내손안에 여행플랜
이용방법
이용하기
주 메뉴
닫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여닫기
요즘김해
김해알림
축제
국제슬로시티 김해
김해역사
추천여행
가야유적탐방
김해시티투어
걷고싶은길
스탬프투어
김해열린관광지
스마트투어
경전철투어
한우물가게
김해도보여행신청
김해관광택시
여행지
명소
자연관광
문화&체험
문화유산
시립예술단
음식·숙박·쇼핑
김해의 먹거리
추천음식점
음식
숙박
쇼핑
온라인 등록 신청
여행정보
관광홍보물
관광안내소
문화관광해설
여행정보
커뮤니티
내손안에 여행플랜
전체메뉴
닫기
주변여행정보
사이버투어
포토갤러리
스마트관광
요즘김해
김해톡톡
TOP
김해역사
부 메뉴
시대별 김해역사
선사시대
가야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이후
현재페이지 위치:
홈
|
요즘김해
하위메뉴열기
하위메뉴 닫기
|
김해역사
하위메뉴열기
하위메뉴 닫기
|
시대별 김해역사
하위메뉴열기
하위메뉴 닫기
1차메뉴
요즘김해
추천여행
여행지
음식·숙박·쇼핑
여행정보
2차메뉴
김해알림
축제
국제슬로시티 김해
김해역사
3차메뉴
시대별 김해역사
4차메뉴
선사시대
가야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이후
조선시대
네이버 블로그 담기
페이스북 담기
트위터 담기
카카오스토리 담기
카카오톡 담기
PDF내려받기
링크 공유 (링크 주소 복사)
본문
인쇄
게시물 검색
분류선택
조선전기의 김해
임진왜란과 김해
조선후기의 김해
제목
작성자
내용
검색
총
16
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1
/2 페이지)
[조선전기의 김해]
행정구역의 변천
조선을 개국한 태조는 2년(1393)에 전국 각도의 수관(首官)을 정하면서 경상도에는 계림, 안동, 상주, 진주, 경산과 함께 김해를 수관으로 정하였습니다. 태종13년(1413)에 각도의 관명을 고치면서 김해도호부(金海都護府)가 되었고, 세조5년(1459)에 김해진관(金海鎭管)을 설치해, 웅천(熊川, 웅동)·완포(莞浦, 진해)의 2현이 행정적으로, 창원·칠원·함안·고성·거제·진해·웅천이 군사적으로 각각 김해의 통제를 받게 되었습니다...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939
[조선전기의 김해]
지방자치의 원조
김해부사의 아래는 면(面)과 리(里)로 편성되어, 면에는 면임(面任)·집강(執綱)·풍헌(風憲) 등으로 불리는 면장이, 리에는 동수(洞首)·동장(洞長)·존위(尊位) 등으로 불리는 이장이 부의 향리들과 협의하면서 자치에 가까운 행정을 담당하였습니다. 또 태종 때부터 조직을 갖추기 시작한 유향소(留鄕所)는 양반으로 구성된 지방수령의 자문기구로서 성종20년(1489)에 다시 정비되면서 현령과 현감 또는 진사 등을 역임한 유력하고 ...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897
[조선전기의 김해]
대일교섭의 거점
세종3년(1421)에 경상좌도의 수군도안무처치사(水軍都安撫處置使)는 대마도 원정 때 얻은 왜선 34척이 황산강(黃山江, 물금)에서 썩고 있으니 부수어 새 배를 건조하는 데 쓰겠다고 상주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 대마도 원정이란 세종1년(1419)에 이종무(李從茂) 등에 의해 단행되었던 대마도정벌을 말합니다. 대마도정벌의 전리품이 대동 앞의 낙동강에 매어져 있었다는 것은 대마도정벌에 김해지역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시...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048
[조선전기의 김해]
삼포왜란과 김해의 석전(石戰)놀이
중중5년(1510) 4월에 제포(내이포, 웅천)·부산포(동래)·염포(울산) 삼포의 일본거류민이 쓰시마도주(對馬島島主)와 통하여 난리를 일으킵니다. 제포(薺浦)를 함락시킨 왜인들이 웅천성(熊川城, 진해 웅동)을 포위하자 김해부사 성수재(成秀才)는 너더리고개(세산)을 넘어 현감 한윤과 협력하여 성을 구합니다. 이 때 선봉이 되어 왜적에게 큰 타격을 안겨주었던 부대가 돌팔매를 특기로 하는 석전군(石戰軍)이었습니다. 『신증동국...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223
[조선전기의 김해]
남명선생의 강학과 산해정
퇴계 이황과 함께 조선성리학의 쌍벽이셨던 남명(南冥) 조식(曺植) 선생은 무려 18년 동안 김해에서 후학을 가르치고 성리학을 연구하셨습니다. 연산군7년(1501) 합천 삼가에서 출생하고, 20세에 생원과 진사의 초시에 1등과 2등으로 급제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30세에 처가인 김해로 이사하여 산해정을 짓고 18년 간 연구와 교육에 전념합니다. 김해에서의 18년간은 사림의 기풍을 진작하는 힘이 되었고 조선 거유(巨儒)로 추앙...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814
[임진왜란과 김해]
임진왜란의 발발과 피해
선조25년(1592) 4월 일본을 통일한 토요토미히데요시(豊臣秀吉)은 조선침략군을 편성하여 부산을 급습하여 동래와 양산을 함락시키고 18일에 제3군 쿠로다(黑田長政) 5천, 오오토모(大友義統) 6천, 모리(森吉成) 2천 등 총 13,000명의 왜군은 부산에서 다대포를 건너 김해의 죽도(竹島)에 진주하였고, 19일에 불암창(佛岩倉)까지 진출하여 김해성을 포위합니다. 왜병들이 조총을 쏟아 붓고 19일 밤에는 성내에서 내분도 일어나 20...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334
[임진왜란과 김해]
김해성 전투와 사충신(四忠臣)
1592년 4월 18일 다대포를 건너 왜병이 죽도에 진출하자 김해부사 서예원(徐禮元)은 초계군수 이유검(李惟儉)의 지원을 얻어 날랜 군사를 초선(哨船)에 실어 정탐케 하였으나 적에게 잡혀 실패합니다. 4월 19일 새벽부터 김해성이 포위되자 조총세례에도 불구하고 결사적인 항전을 시작하였습니다. 인망과 재덕을 겸비한 송빈(宋賓, 1542∼1592, 진영)이 이대형(李大亨, 1543∼1592, 활천)과 장정 백 여 명을 이끌고 입성하였고, ...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296
[임진왜란과 김해]
사충단의 제사
김해부 사람들은 사충신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숙종34년(1708) 진례에 송담사(松潭寺)와 송담서원(松潭書院)을 세워 네 분의 위패를 모셨습니다. 순조33년(1833)에 송담서원은 표충사(表忠祠)의 이름을 받았고, 고종8년(1871)에는 나라에서 사충단(四忠壇)과 비석(碑石)이 내려졌습니다. 사충단과 비석은 1977년에 지금의 동상동 송담서원에 옮겨 세워졌습니다. 비각의 지붕에 여의주를 물고 사방을 지키고 있는 네 마리의 용은 사...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090
[임진왜란과 김해]
선조대왕의 교지(敎旨)와 어서각(御書閣)
김해성 함락 후에 선산에서 김해로 내려온 권탁(權卓)은 무너진 성을 수축해 지키다가 선조대왕이 내린 국문교서를 받들어 적진에 들어가 수비병을 죽이고 일본으로 납치되려던 양민 백 여 명을 구출하였습니다. 권탁이 전투에서 입은 상처로 죽자, 경종(景宗)때 장례원판결사의 벼슬을 올리고, 고종7년(1870)에 김해부사 허전(許傳)이 기문을 짓고 현충사와 어서각을 세워 국문교서-어서(御書)를 봉안하였습니다. 어서각의 규모가...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997
[조선후기의 김해]
정치·군사체재의 정비
선조31년(1598) 9월에 부사 정기남(鄭奇男)의 부임하고 11월에 왜군이 철수하자 비로소 전후 복구에 착수하게 됩니다. 광해군8년(1616)에 창원에 있던 청천진(晴川鎭)과 신문진(新門鎭)을 진례와 장유로 옮겼는데, 이 두 진은 소모진(召募鎭)으로서 지금의 예비군훈련소와 같은 것으로 시기에 따라 불러모아 병력을 충당하는 진(鎭)이었습니다. 효종1년(1650)에 부사 박경지(朴敬祉)가 해창(海倉)과 대변청(待變廳)을 강서구 가락...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982
처음
이전
1
2
다음
마지막
페이지담당 :
문화유산과 문화유산정책팀
전화번호 :
055-330-089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매우 만족
(5점)
만족
(4점)
보통
(3점)
불만족
(2점)
매우 불만족
(1점)
불만족 사유 선택
불친절,불성실한 민원처리
불합리한 제도
공정성 결여
민원처리 신속성저하
민원이해 부족
의견:
의견 등록
하단 정보
정책홍보 모음
정책홍보모음. 순환 정지
정책홍보모음. 이전 보기
정책홍보모음. 다음 보기
정책홍보모음. 더 보기
청탁금지법·행동강령 위반 신고
부동산거래질서교란행위 신고센터
국민생각함(국민정책참여플랫폼)
자동차365
김해시 실시간 정수장 수질
경남장애인기업생산품
라돈측정 방문 서비스
경상남도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
경남 나누미
삶의 질을 추구하는 국제슬로시티 공동체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근로복지공단
정부24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경제배너e
김해진로교육지원센터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임신·육아 종합포털 아이사랑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용동영상
스마트쉼센터
민방위 대피소
착한가격업소 안내
신용회복위원회
생활안전지도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개인정보보호 교육 안내
부패·공익신고
독립유공자의 후손을 찾습니다.
경상남도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장애인연금
CLEAN-Eye 지방공기업경영정보공개시스템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
부서/사업소
부서/사업소
소통공보관
감사관
기획조정실
기획예산담당관
법무담당관
정보통신담당관
스마트도시담당관
혁신경제국
기업혁신과
전략산업과
투자유치단
민생경제과
세정과
재산소득세과
납세과
복지국
복지정책과
생활보장과
여성가족과
아동청소년과
노인복지과
행정자치국
총무과
자치행정과
회계과
토지정보과
환경국
환경정책과
기후대응과
자원순환과
하천과
시민안전국
시민안전과
건설과
도로과
교통혁신과
대중교통과
도시관리국
도시계획과
도시개발과
도시디자인과
건축과
공동주택과
허가민원과
농업기술센터
농업정책과
농식품유통과
축산과
농업기술지원과
공원녹지과
산림과
김해시보건소
보건관리과
건강증진과
지역보건과
위생과
김해시서부보건소
보건관리과
건강증진과
위생과
문화관광사업소
문화예술과
관광과
문화유산과
상하수도사업소
수도과
하수과
삼계정수과
명동정수과
인재육성사업소
인재육성지원과
체육지원과
전국체전지원단
칠암도서관
장유도서관
진영한빛도서관
차량등록사업소
장유출장소
주민지원과
생활지원과
도시관리과
부서/사업소 닫기
읍면동
읍면동
진영읍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생림면
상동면
대동면
동상동
회현동
부원동
내외동
북부동
칠산서부동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
장유1동
장유2동
장유3동
읍면동 닫기
유관기관
유관기관
김해중부경찰서
김해서부경찰서
김해동부소방서
김해서부소방서
김해교육지원청
김해우체국
김해세무서
김해상공회의소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국민연금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도로공사
부산김해경전철
김해고용복지+센터
유관기관 닫기
도내지방자치단체
도내지방자치단체
경상남도
창원시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밀양시
거제시
양산시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도내지방자치단체 닫기
김해시관련
인사이드 김해
1 평생학습관
2 공공예약포털
3 국립김해박물관
4 기후변화 홍보체험관
5 김해목재문화박물관
6 김해문화재단
7 김해문화재단 김해가야테마파크
8 김해문화재단 김해낙동강레일파크
9 김해문화재단 김해문화의전당
10 김해문화재단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11 김해문화재단 김해서부문화센터
12 김해문화재단 김해천문대
13 김해문화재단 김해한옥체험관
14 김해분청도자박물관
15 김해시 인터넷 자동차공매
16 김해시 중소기업육성자금
17 김해시교통정보
18 김해시도시개발공사
19 김해시복지재단
20 김해시복지재단 구산사회복지관
21 김해시복지재단 김해시노인종합복지관
22 김해시복지재단 김해시여성센터
23 김해시 일자리지원센터
24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25 김해통합도서관
26 대성동고분박물관
27 수도박물관
28 도시재생지원센터
29 분성산 생태숲
30 사회적경제지원센터
31 생림오토캠핑장
32 어린이교통공원
33 전국공무원노조 김해시지부
34 주정차 단속알림 서비스
35 진영단감축제
36 치매안심센터
37 화포천습지 생태공원
38 회현지기
39 수도요금조회납부
40 미세먼지 생활정보
41 도로점용굴착 인허가
42 지속가능발전협의회
43 고고가야스마트관광
44 김해시어린이급식지원센터
45 김해청년센터(김해청년다옴)
46 종량제봉투신청
47 강소특구사업단
48 메타버스 김해
인사이드 김해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저작권정책
읽기전용 프로그램
누리집 안내지도
찾아오시는길
주차장안내
작성자 (연락처/저작권)
50924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 2401(부원동) 김해시청
민원콜센터 : 1577-9400 (유료),
055-330-3114 (유료)
Copyright(c)Gimhae City,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