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포털 홈
시정포털
관광포털
분야포털
공공예약포털
기업119
Good-Job
김해시의회
공공데이터
스마트도시
교통정보
국가상징
Global Navigation
홈
누리집 안내지도
상단 메뉴
여행맞춤검색
여닫기
여행맞춤정보
누구와
함께 하세요?
가족
키즈
데이트
우정女
우정男
효도
나홀로
단체
언제
떠나세요?
봄
여름
가을
겨울
무엇을
타세요?
자가용/렌트
부산-김해경전철
검색하기
통합검색
통합검색
코스여행검색
관광·체험검색
축제검색
숙박시설검색
음식점검색
쇼핑정보검색
게시판검색
검색
김해 블로그
김해 블로그
김해 페이스북
김해 카카오스토리
김해 인스타그램
낙동강행사축제 현황
주 메뉴
주 메뉴
여닫기
주 메뉴
닫기
요즘김해
요즘김해
김해알림
이벤트
행사일정
월간일정
주간일정
일일일정
축제
대표축제
마을축제
낙동강행사축제 현황
동아시아문화도시 김해
국제슬로시티 김해
지정배경
국제슬로시티 의미
상징물 의미
김해가 추구하는 길
김해가 걸어온 길
김해 슬로마을
김해 슬로프렌즈기업
슬로시티 지역특산품
슬로라이프 실천하기
김해역사
시대별 김해역사
선사시대
가야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이후
추천여행
추천여행
가야유적탐방
4시간코스
1일코스
1박2일코스
김해시티투어
이용안내
투어코스
체험프로그램
걷고싶은길
관광지 도보코스
마을·도심 산책
스탬프투어
여권형스탬프투어
김해열린관광지
열린관광지 소개
김해가야테마파크
열린만화방 가야다움
김해낙동강레일파크
김해한옥체험관
봉하마을
스마트투어
고고가야
vr투어
경전철투어
경전철 뚜벅코스
경전철 역정보
경전철 노선/운임
한우물가게
권역별
가야의거리근교
대동면·불암동
진영읍·한림면
테마별
맛
멋
손길
백년가게
김해도보여행신청
금릉로드
금릉로드 예약신청
소로다담길
소로다담길 예약신청
김해관광택시
여행지
여행지
명소
박물관&미술관
유적지
가야유적
대성동유적
봉황동유적
가야유물 전시 박물관
자연관광
산
계곡
사찰
공원
스파
문화&체험
문화시설
문화예술시설
문화의집
극장
도서관
유원지
레저시설
골프
스포츠
레저활동
체험
캠핑장
문화유산
우리고장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사적
천연기념물
도지정문화재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문화재자료
민속놀이
석전놀이
삼정동걸립치기
시립예술단
시립합창단
소개
공연연보
단원명단
시립가야금연주단
소개
공연연보
단원명단
시립청소년교향악단
소개
공연연보
단원명단
시립소년소녀합창단
소개
공연연보
단원명단
음식·숙박·쇼핑
음식·숙박·쇼핑
김해의 먹거리
김해의 맛 골목
김해의 카페거리
대표 먹거리 음식점
진영갈비
불암장어
토종백숙
글로벌푸드
동상시장 청년몰
추천음식점
안심식당
모범음식점
위생등급지정업소
향토음식 경연대회 수상업소
2019년 수상
2018년 수상
2017년 수상
2016년 수상
김해맛집
2023년 김해맛집
2022년 김해맛집
2021년 김해맛집
착한가격업소(음식점)
음식
전체
한식
중식
일식
양식
횟집
분식
퓨전
카페
기타
숙박
전체
관광호텔
일반호텔
모텔
펜션·민박
한옥체험업
쇼핑
김해시관광기념품
특산품
장군차
김해청결미
화훼
단감
칠산참외
딸기
생림-맛보우
감자
채소
참죽나무부각
도자기
산딸기
전통시장
쇼핑센터
대형마트
e경남몰
김해온몰
김해분청도자전시판매관
온라인 등록 신청
숙박점 등록신청
음식점 등록신청
여행정보
여행정보
관광홍보물
신청하기
전자책(E-BOOK )
관광안내소
김해 관광안내소
1330 안내전화
문화관광해설
문화관광해설사란
김해시 문화관광해설사
문화관광해설 신청
일반해설 안내
일반해설 예약
김해의 다양한 해설사
문화관광해설사 통합예약
여행정보
김해의 여행사
대중교통, 자가용
대중교통정보
자가용
렌트카
커뮤니티
공지사항
질문과 답변
포토갤러리
내가 찍은 김해
포토
내손안에 여행플랜
이용방법
이용하기
주 메뉴
닫기
전체메뉴
전체메뉴
여닫기
요즘김해
김해알림
축제
국제슬로시티 김해
김해역사
추천여행
가야유적탐방
김해시티투어
걷고싶은길
스탬프투어
김해열린관광지
스마트투어
경전철투어
한우물가게
김해도보여행신청
김해관광택시
여행지
명소
자연관광
문화&체험
문화유산
시립예술단
음식·숙박·쇼핑
김해의 먹거리
추천음식점
음식
숙박
쇼핑
온라인 등록 신청
여행정보
관광홍보물
관광안내소
문화관광해설
여행정보
커뮤니티
내손안에 여행플랜
전체메뉴
닫기
주변여행정보
사이버투어
포토갤러리
스마트관광
요즘김해
김해톡톡
TOP
김해역사
부 메뉴
시대별 김해역사
선사시대
가야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이후
현재페이지 위치:
홈
|
요즘김해
하위메뉴열기
하위메뉴 닫기
|
김해역사
하위메뉴열기
하위메뉴 닫기
|
시대별 김해역사
하위메뉴열기
하위메뉴 닫기
1차메뉴
요즘김해
추천여행
여행지
음식·숙박·쇼핑
여행정보
2차메뉴
김해알림
축제
국제슬로시티 김해
김해역사
3차메뉴
시대별 김해역사
4차메뉴
선사시대
가야시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 이후
일제강점기 이후
네이버 블로그 담기
페이스북 담기
트위터 담기
카카오스토리 담기
카카오톡 담기
PDF내려받기
링크 공유 (링크 주소 복사)
본문
인쇄
게시물 검색
분류선택
일제강점기의 김해
김해의 삼일운동
김해의 독립투사들
경제활동
제목
작성자
내용
검색
총
14
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
1
/2 페이지)
[일제강점기의 김해]
일제의 헌병통치
1910년 8월 우리는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로 전락하였습니다. 김해군은 대한제국 때 23개 면이었으나, 1918년 7월에 13개 면으로 통합되었습니다. 각 면(面)에는 면장·면서기·회계원이 실무를 담당하고, 동(洞)·리(里)에는 무보수의 구장이 임명되었습니다. 김해군의 치안은 경찰을 대신해 진주헌병대 마산분대가 맡았다가, 1914년 4월에 부산분대로 넘어갔고, 좌부면(부원동)에 헌병대김해분견소와 활천·칠산·가락·주촌·녹산·�...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257
[일제강점기의 김해]
일제의 경제적 수탈
조선총독부는 1912년 8월 13일 토지조사령을 공포합니다. 근대적 소유권과 토지제도의 확립이라는 미명 아래 한국의 경제적 기반을 빼앗는 것이었습니다. 8년 간의 토지조사사업으로 총독부는 많은 논밭과 임야를 차지하고, 국책의 동양척식주식회사와 민간의 일본토지회사, 일본인 이주민들에게 무상이나 싼값으로 불하하였습니다. 동양척식회사의 김해농장이 회현리에 설치되었고, 무라이농장(村井農場 후에 하자마농장)이 진영...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513
[일제강점기의 김해]
일제의 식민교육
1911년 총독부는 조선교육령(朝鮮敎育令)을 공포합니다. 3.1운동 이후 1922년에 2차 조선교육령, 중일전쟁을 일으킨 1938년에 3차 조선교육령이 추가로 공포되었습니다. 조선교육령은 일제가 조선인의 문화적 정신적 독립성을 말살하고 영원히 식민지인으로 고착시키기 위한 일제의 교육방침과 교육법이었습니다. 교육령에 따라 진영(1919), 대저·장유(1922), 가락·명지·생림(1923), 하동(1924), 녹산(1927)에 공립보통학교가 설립...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177
[김해의 삼일운동]
김해의 삼일운동
1919년 3월 1일 억눌려왔던 조선민중의 만세시위가 전국을 뒤덮었습니다. 전국적 만세의 물결은 김해에도 전해졌습니다. 3월 30일 밤 김해읍내에서 시작된 만세시위는 31일과 4월 5일에 하계면(진영시장), 4월 11일에 명지면(명호시장)을 휩쓸었고, 4월 12일에 장유면 무계리에서 절정에 이르렀으며, 4월 16일에 칠산 이동리의 시위로 이어졌습니다.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030
[김해의 삼일운동]
김해읍내의 만세시위
김해읍 출신 배동석(裴東奭)은 세브란스의전 학생으로 2월 26일 마산에 내려와 박순천(朴順天)에게 독립선언서를 전달하였고, 3월 1일 서울 파고다공원에서 삼일운동의 학생대표로 활약한 뒤, 선언문을 가지고 김해로 내려와 임학찬(任學讚)·배덕수(裴德秀) 등과 은밀히 의논하여, 3월 30일 밤 10시 읍내 중앙거리에서 태극기를 흔들면서 대한독립만세를 크게 외쳤습니다. 김해 최초의 만세시위였으나 미리 부산에서 파견되어있던 ...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036
[김해의 삼일운동]
진영시장의 만세시위
하계 면서기 김우현(金禹鉉)은 신문을 통해 전국의 만세운동을 알고, 3월 29일 김성도(金成濤) 김정태(金廷泰) 김용환(金容煥)과 함께 만세운동을 계획합니다. 각자 돈을 털어 포목상 김정태에게 재료를 사오게 해, 여래리 골짜기에서 태극기를 만들고, 장날에 거사하기로 하였습니다. 3월 31일 장날 오후 1시경 많은 장꾼 속에서 5명의 청년이 광목 태극기를 들고, 종이 태극기를 나눠주며, 독립만세라 쓴 삐라를 뿌리면서 대한독...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942
[김해의 삼일운동]
명지면의 만세시위
사립 동명학교 교사 이진석(李鎭奭)은 동창생 김연복(金淵輹, 경성약학전문학교)에게 독립선언서를 입수합니다. 이진석은 동창생 양왕석(梁旺錫)·이규회(李圭恢)·지봉구(池鳳九) 등과 의거를 논의하고, 4월 9일 밤에 양왕석과 철야로 등잔불을 가리고 태극기를 만들고 독립선언서를 베꼈습니다. 4월 10일 이진석은 동지들과 함께 동명학교 학생 김청천 서갑순 등을 명호장으로 부르고 장꾼이 가장 많이 모인 오후 2시경에 독립선언...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814
[김해의 삼일운동]
장유면의 만세시위
오산학교 출신 김종환(金鍾 )은 삼일운동 후 독립선언문을 옷깃에 숨겨 고향에 돌아와 지방유지 김승태(金升泰)와 모의하고, 이강석(李康奭) 김용주(金鎔鑄) 조용우(趙鏞宇) 조항래(趙恒來) 등 십여 명의 동지를 규합하였습니다. 4월 11일 신문리 범동포 이학도(李學道)의 주막에서 지역별로 동원 책임을 분담하고, 갈대밭에서 태극기를 만들고 독립선언문을 등사하여 각 대표들에게 나눠주었습니다. 4월 12일 연락 받은 장유면민...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978
[김해의 독립투사들]
김해의 독립투사들
조정환(曺正煥, 녹산)은 만주에 가서 독립단의 자의부장이 되었고, 다물단(多勿團)을 조직하여 활동하였고, 강원석(姜元錫, 진영)은 의열단사건에 연루되어 2년 간 옥살이를 했으며, 노석호(盧奭鎬, 생림)는 만주에서 항일운동을 하였습니다. 징역3년을 선고받고 신경(新京)에서 복역하던 중 옥사하였습니다. 배치문(裴致文, 한림)은 삼일운동 때 목포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여 옥고를 치른 뒤, 중국으로 망명하여 1923년 임시정부...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097
[경제활동]
김해지역의 소작쟁의
1925년 9월 진영소작인회는 무라이농장(村井農場)의 소작인대회를 열고 일본인 소작인과의 차별철폐를 요구하였습니다. 그리고 1928년 5월 오사카 상인 하자마(迫間房太郞)가 농장을 매수하여 소작료를 올리자, 천명의 소작인이 1931년까지 연중행사처럼 소작쟁의를 일으킵니다. 1931년 11월 소작인 200여명이 도보로 부산 하자마본점과 경남도청까지 몰려가 요구조건을 관철시켰습니다. 1932년 1월에는 소작인 간부 11명에게 소작...
2018-08-29
관리자
조회수 : 1085
처음
이전
1
2
다음
마지막
페이지담당 :
문화유산과 문화유산정책팀
전화번호 :
055-330-089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매우 만족
(5점)
만족
(4점)
보통
(3점)
불만족
(2점)
매우 불만족
(1점)
불만족 사유 선택
불친절,불성실한 민원처리
불합리한 제도
공정성 결여
민원처리 신속성저하
민원이해 부족
의견:
의견 등록
하단 정보
정책홍보 모음
정책홍보모음. 순환 정지
정책홍보모음. 이전 보기
정책홍보모음. 다음 보기
정책홍보모음. 더 보기
청탁금지법·행동강령 위반 신고
부동산거래질서교란행위 신고센터
국민생각함(국민정책참여플랫폼)
자동차365
김해시 실시간 정수장 수질
경남장애인기업생산품
라돈측정 방문 서비스
경상남도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
경남 나누미
삶의 질을 추구하는 국제슬로시티 공동체
유니세프 아동친화도시
근로복지공단
정부24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경제배너e
김해진로교육지원센터
전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임신·육아 종합포털 아이사랑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용동영상
스마트쉼센터
민방위 대피소
착한가격업소 안내
신용회복위원회
생활안전지도
공익신고자 보호제도
개인정보보호 교육 안내
부패·공익신고
독립유공자의 후손을 찾습니다.
경상남도지역사회서비스지원단
장애인연금
CLEAN-Eye 지방공기업경영정보공개시스템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
부서/사업소
부서/사업소
소통공보관
감사관
기획조정실
기획예산담당관
법무담당관
정보통신담당관
스마트도시담당관
혁신경제국
기업혁신과
전략산업과
투자유치단
민생경제과
세정과
재산소득세과
납세과
복지국
복지정책과
생활보장과
여성가족과
아동청소년과
노인복지과
행정자치국
총무과
자치행정과
회계과
토지정보과
환경국
환경정책과
기후대응과
자원순환과
하천과
시민안전국
시민안전과
건설과
도로과
교통혁신과
대중교통과
도시관리국
도시계획과
도시개발과
도시디자인과
건축과
공동주택과
허가민원과
농업기술센터
농업정책과
농식품유통과
축산과
농업기술지원과
공원녹지과
산림과
김해시보건소
보건관리과
건강증진과
지역보건과
위생과
김해시서부보건소
보건관리과
건강증진과
위생과
문화관광사업소
문화예술과
관광과
문화유산과
상하수도사업소
수도과
하수과
삼계정수과
명동정수과
인재육성사업소
인재육성지원과
체육지원과
전국체전지원단
칠암도서관
장유도서관
진영한빛도서관
차량등록사업소
장유출장소
주민지원과
생활지원과
도시관리과
부서/사업소 닫기
읍면동
읍면동
진영읍
주촌면
진례면
한림면
생림면
상동면
대동면
동상동
회현동
부원동
내외동
북부동
칠산서부동
활천동
삼안동
불암동
장유1동
장유2동
장유3동
읍면동 닫기
유관기관
유관기관
김해중부경찰서
김해서부경찰서
김해동부소방서
김해서부소방서
김해교육지원청
김해우체국
김해세무서
김해상공회의소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국민연금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한국농어촌공사
한국도로공사
부산김해경전철
김해고용복지+센터
유관기관 닫기
도내지방자치단체
도내지방자치단체
경상남도
창원시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밀양시
거제시
양산시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도내지방자치단체 닫기
김해시관련
인사이드 김해
1 평생학습관
2 공공예약포털
3 국립김해박물관
4 기후변화 홍보체험관
5 김해목재문화박물관
6 김해문화재단
7 김해문화재단 김해가야테마파크
8 김해문화재단 김해낙동강레일파크
9 김해문화재단 김해문화의전당
10 김해문화재단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11 김해문화재단 김해서부문화센터
12 김해문화재단 김해천문대
13 김해문화재단 김해한옥체험관
14 김해분청도자박물관
15 김해시 인터넷 자동차공매
16 김해시 중소기업육성자금
17 김해시교통정보
18 김해시도시개발공사
19 김해시복지재단
20 김해시복지재단 구산사회복지관
21 김해시복지재단 김해시노인종합복지관
22 김해시복지재단 김해시여성센터
23 김해시 일자리지원센터
24 김해의생명산업진흥원
25 김해통합도서관
26 대성동고분박물관
27 수도박물관
28 도시재생지원센터
29 분성산 생태숲
30 사회적경제지원센터
31 생림오토캠핑장
32 어린이교통공원
33 전국공무원노조 김해시지부
34 주정차 단속알림 서비스
35 진영단감축제
36 치매안심센터
37 화포천습지 생태공원
38 회현지기
39 수도요금조회납부
40 미세먼지 생활정보
41 도로점용굴착 인허가
42 지속가능발전협의회
43 고고가야스마트관광
44 김해시어린이급식지원센터
45 김해청년센터(김해청년다옴)
46 종량제봉투신청
47 강소특구사업단
48 메타버스 김해
인사이드 김해 닫기
개인정보처리방침
저작권정책
읽기전용 프로그램
누리집 안내지도
찾아오시는길
주차장안내
작성자 (연락처/저작권)
50924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 2401(부원동) 김해시청
민원콜센터 : 1577-9400 (유료),
055-330-3114 (유료)
Copyright(c)Gimhae City,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