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김해 펼침 수산물 방사능 안전정보 본문상단으로 이동

  • 게시기간이 지난 게시물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 담당부서 및 담당자 연락처를 알고 싶으면 분은 해당 게시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김해 진영읍 서구2마을,“진영 금병산 자락 문화가 꽃피는 찬새내골”

작성일
2021-12-25 18:27:42
담당부서 :
건설과
작성자 :
공연경
조회수 :
267
전화번호 :
055-330-6884

-

-

“진영 금병산 자락 문화가 꽃피는 찬새내골” 
김해시, 마을만들기사업 성공사례 <1> 진영읍 서구2마을
- 벽화로 아름다운 마을길과 주민공동체 위한 문화마당 조성 -


경남의 대표적인 도농복합도시인 김해시가 ‘생기발랄한 가야뜰 마을만들기사업’으로 농촌마을 공동체를 회복하고 도농간 격차를 줄여가고 있다. 주민 주도 상향식으로 공동체를 활성화해 마을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주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이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공모 선정으로 지난 2017년 시작됐으며 2019년 4월 재정분권정책으로 지방으로 이양됐다. 김해는 7개 읍면에 223개 마을이 있으며 김해시는 2017년 대동면 수안마을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마을당 5억원씩 총 95억원을 투입해 13개 마을을 대상으로 14개 사업을 추진했으며 내년에는 20억원을 들여 4개 마을의 정주여건을 개선한다. 상향식 사업인 만큼 주민 의지가 가장 중요한 이 사업에 더 많은 마을들이 참여하기 바라는 뜻에서 2019년, 2020년 이 사업으로 활기를 되찾은 8개 마을의 성공사례를 차례로 소개한다. 


 김해시 진영읍 진영리에는 “금병산 자락 아래 맑은 물이 솟아 나와 우리의 자랑되어 마을 이름이 되었네”라는 마을 주제가처럼 마을 내 우물을 4곳이나 보유한 아름다운 찬새내골(서구2마을)이 자리 잡고 있다.

 윗동네, 아랫동네 주민들의 단합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2017년부터 벚꽃축제와 우물난장 가을음악회 행사를 추진할 만큼 역량이 뛰어난 마을이었으나 부족한 시설 인프라로 인해 가슴 한편에 아쉬움을 가지고 있던 마을이었다.

 2018년 김해시를 통해 농림축산식품부의 일반농산어촌개발 공모사업을 접하고 마을이장(변애자)을 중심으로 다시 한번 마을을 변화시키기 위해 주민들이 단합하여 수차례의 추진위원회 회의 등을 통해 나온 서구2마을만의 사업계획을 가지고 2019년 마을만들기사업 공모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좁고 노후화된 마을 안길에 예쁜 옷을 입히다= 서구2마을 윗동네 안길은 평균 2m 정도의 좁은 길로 차량 통행이 여의치 않아 주민들이 이사할 때 인력이나 리어카를 이용할 수 밖에 없었고 담장들이 노후화되어 마을 경관을 저해하고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마을주민들이 서로 조금씩 양보하여 좁은 곡각부 담장 일부분을 뒤로 물려 도로 선형을 개선하였으며 노후화된 담장은 벽화를 그려 아름다운 찬새내골 테마거리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또한 행복한 가족문화 조성을 위해 주민들의 아이디어로 서구2마을만의 문패를 제작 설치하여 찬새내골 테마거리의 볼거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문패는 가족 구성원 이름과 함께 추억이 서린 사진, 의미 있는 짧은 글귀가 담겨 있어 정겹다. 

 ▲주민들을 위한 문화공간 마련= 2017년부터 시행한 벛꽃축제와 우물난장 가을음악회 등 문화행사 시 부족한 시설 인프라 확충을 위하여 금병산 자락 아래 공터에 문화·교육공간인 행복마을나눔터를 조성하였다. 또한 역량강화사업을 통해 가죽공예동아리, 전통요리교육, 카페실습교육 등을 이곳에서 진행해 주민들의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지속가능성 확보 위한 영농조합법인 구성= 서구2마을은 마을만들기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하여 주민 11명으로 구성된 찬새내골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하여 ‘새미할매’라는 마을브랜딩을 통해 마을기업 등 타 부처 연계사업에도 선정되어 단감을 활용한 고추장, 막걸리, 식혜 등을 생산하여 마을 소득 창출에도 노력하고 있다. 

 최성만 김해시 건설과장은 “서구2마을은 우리시 마을만들기사업의 우수사례로 전국적으로 인정받는 농촌 문화공동체 모델 구축을 위해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지속가능성 확보에도 힘쓰겠다”고 말했다.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제1유형 :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 및 변경 가능)"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참조 : 저작권정책 보기

페이지담당 :
소통공보관 공보팀
전화번호 :
055-330-301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