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김해 펼침

투데이김해

2024년 06월 02일(일) 오전 12시 51분

날씨

비
  • 온도 11℃
  • 습도 :0%
  • 강수확률 60%
  • 좋음미세먼지 22 ㎍/㎥
  • 보통초미세먼지 18 ㎍/㎥
  • 나쁨오존농도 0.097 ppm
김해시 인구 (2024년 5월말 기준)
555,143

오늘의 소식

  • 오늘의 소식이 없습니다.
투데이김해 닫기
수산물 방사능 안전정보 본문상단으로 이동

[종합소식] 2022년 상반기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지원대상자 모집 안내

작성일
2021-12-21 14:35:08
담당부서 :
장유3동
담당자 :
이수민
조회수 :
1465
전화번호 :
055-359-8945
2022년 상반기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지원대상자 모집 안내

1. 신청기간: 2022. 1. 4.(화) ~ 1. 10.(월)
     ※ 결과발표: 2021. 1. 28. (금) 한
     서비스 이용 기간 : 2022년 2월 ~ 2021년 1월(12개월)

2. 모집: 8개 서비스 / 총 900명
 - 아동청소년심리지원서비스: 만18세이하 / 언어, 행동, 심리치료 등 / 300명
 - 장애인보조기기렌탈서비스(상시모집): 만24세이하 지체,뇌병변 장애인 등 / 보조기기 렌탈, 리폼 / 25명
 - 인터넷과몰입아동청소년치유서비스: 만18세 이하 / 인터넷중독 치료 / 5명
 -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 만0-6세 / 발달지연아동 발달지원 / 130명
 - 아동청소년비전형성지원서비스: 만7-15세 / 리더십, 진로탐색 체험 / 60명
 - 정신건강 토탈케어서비스: 정신장애인 등 / 정신질환자의 생활관리 / 35명
 - 아동·노인 연국교육서비스: 만5~19세, 만 60세 이상 / 연극교육, 공연관람 / 45명
 -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만60세이상, 지체·뇌병변 장애인, 국가유공자 / 안마, 찜질 등 / 300명

3. 신청방법: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직접 방문

4. 구비서류
 (1) 신분증
 (2) 건강보험증(또는 건강보험자격(통보)확인서) 및 건강보험납부확인서
  - 무인민원발급기에서 무료 발급 가능(본인에 한함)
  - 건강보험 홈페이지, 콜센터(1577-1000) 등을 통하여도 발급 가능
  - 맞벌이일 경우 각각 1부씩 제출
  - 가구원 수 선정 시 주민등록을 달리하는 가족이 있으면 가족관계증명서(또는 혼인관계증명서)도 같이 제출
     ※ 가구원 포함 범위: 배우자, (아동의) 부모·형제
 (3) 각 서비스별 필수서류 등
     - 아동청소년심리지원서비스: 의사진단서(소견서) 또는 김해시정신건강복지센터(주촌면 소재지)장 추천서
     -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 I. 영유아 건강검진 항목 중 발달평과 결과 추후 "검사결과필요등급" 받은 서류(영유아건강검진결과서 제출) II. 발달검사(K-DEP, K-ASQ 등) 결과 지연 III. 발달경계인의 경우 발달검사결과 또는 유아(보육)시설장의 추천서+검사지 중 택 1
     - 인터넷 과몰입 아동청소년 치유서비스: 인터넷중독 선별검사(K척도 등) 결과서(고위험군, 잠재위험군판정)
     - 정신건강 토탈케어 서비스: 정신 장애인 복지카드 또는 정신과 치료가 필요하다는 정신과의사의 진단서(또는 소견서)
     - 장애인보조기기 렌탈 서비스: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 복지카드 또는 의사진단서(척수장애, 근위축증)
     - 시각장애인 안마서비스: 의사진단서, 소견서, 처방전(질병분류코드 G, M, I 및 R81, E10~15 기재) 중 제출

5. 주의사항
 (1) 아래 서비스는 횟수제한 있음
     - 아동청소년심리지원서비스 2회 / 장애인보조기기렌탈서비스 6회 / 정신건강 토탈케어서비스 5회 / 아동노인연극교육서비스 2회
 (2) 위 서비스는 유사서비스로 중복신청 안됨: 발달재활서비스, 아동청소년심리지원서비스,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의 자녀언어발달 사업
 (3) 서비스 결제카드(바우처카드) 보유여부 반드시 확인 필요
 (4) 다른 기초지자체로 전입을 할 경우 또는 2개월 이상 미이용시 서비스가 중단됨
 (5) 진단서 유효기간은 최대 6개월

붙임  1.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소득기준 및 본인부담금 안내(2021년 기준)
           2. 2022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안내문
           3. 2022년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기준정보
           4.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신청서
           5. 1장 요약문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조건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권정책

페이지담당 :
장유3동 총무팀
전화번호 :
055-359-892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