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구’라는 말은 돌과 바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방구산은 무계리와 유하리의 경계지점에 야트막한 산이 있었는데 봉우리까지 온통 바위로 되어있어 이를 방구산이라고 불렀다. ‘석봉’은 방구봉우리를 한자로 표기 한 것이다.
현재의 석봉마을은 방구산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곳이다. 현재의 석봉마을은 삼문리 월산마을이 있던 곳이다.
능동마을 아래에 ‘절미’라고 부르는 마을이 있었다. 현재 ‘젤미마을’이라고 부르는 곳이다. 이곳에 고려시대의 특수부락인 향(鄕)이 있었는데 제을미향(齊乙彌鄕)이라고 불렀다한다. 조선시대에도 고종때까지 제미리(齊彌里)라고 불렀으며, 근래에 와서는 ‘절미’라고 불렀는데, 신도시 조성후 아파트를 짓고 마을명을 지을 때 ‘절미’는 지방방언임을 고려하여 ‘제을미’의 준말인 ‘젤미’로 지은 것이라고 한다. 한편 젤미라는 말은 최근에 사용한 적이 없었고, ‘절미’라고 불렀는데 ‘절미’는 ‘절뫼’로써 절로 올라가는 산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즉 장유사으로 올라가는 산이라는 뜻이다(화제 이우섭 주장)
대청리 계동마을 앞뜰을 ‘가오야 들’ 또는 ‘갈뜰’이라고 불렀다. ‘갈뜰’은 ‘가을들’의 준말이다. 신도시가 조성 되기 전에 대청리에서는 벼농사 짓기에 가장 좋은 들판 이었다. 대청천에서 들판을 잇는 수로인 가보를 이용하여 용수하였으며, 아무리 가뭄이 와도 가보에 물이 떨어지는 경우는 없었으므로 그야말로 문전옥답이었다. 이 터에 대동아파트와 부영아파트 대우아파트 등이 들어서 대단위 주택 단지가 되었으며, 마을 이름을 지을 때 ‘가보’ 또는 가오뜰을 ‘갑오’로 잘못 알고 지은 것 같다. 당초지명대로 부를 것 같으면 ‘가을마을’로 부르거나 아니면 예부터 부르던 ‘계동桂洞 마을’로 고쳐야 한다고 본다.
신안마을(사기점) 아래 조성된 신도시 주택단지를 팔판(八坂) 마을로 이름지었다. 팔판산(八坂山) 아래 있으므로 왕비, 현인, 3상 6판서가 나온다는 팔판산의 정기를 내려받자는 취지에서 지은 이름이다. 팔판마을과 접하는 곳에는 ‘월봉서원’이 있다. 이곳은 덕정(德亭)마을 이다. 덕정마을의 들판에 있던 취락과 뜰은 신도시에 편입되면서 팔판마을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나, 산기슭에 사는 전주이씨 집성촌은 편입되지 않았고 덕정이란 마을명을 그대로 쓰고 있다. 여기에 영남의 거유(巨儒) 월헌선생을 우모하는 명휘사(明輝祠)가 있다. 관동중학교 동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금도 전국 각지에서 월헌과 화재의 학문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김해시와 진해시의 경계를 이루는 명산이다. 1948년 한때 산정에 약수가 솟아올라 부산에서도 직통버스가 다닐 정도였다. 지리풍수설에 의하면 진해 천자봉으로부터 북동으로 달려간 곳에 팔판동(八判洞)이 있는데 판서(判書)8명이 날 명당자리가 있다고 하기 때문에 불러진 이름이다. 이밖에도 김해 진해 창원의 경계지점에 3상 3판서 4왕비 3현인이 나오는 천귀락지형(天歸落地形)의 명당이 있고, 장유면쪽에 3상이 나온다는 천마섭운형(天馬雲形)이 있고, 6판서가 나온다는 반사화룡형(蟠蛇火龍形)의 명당이 있다고함. 지금은 국방상 요지가 되어 들어갈 수 없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장유면에서 볼 때 남서방향이며, 팔판마을과 신안마을의 뒷산을 말한다.
김해시 서부의 가장 높은 산이며, 가락국때 허황후의 칠왕자가 모두 성불했으므로 허후를 불모(佛母)로 모셨기 때문에 불모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산은 가락불교의 성지로서 지금도 동쪽에 장유사, 서쪽에 성주사(聖住寺)등의 오래된 사찰이 있다. 산상(山上)에는 1969년 5월 9일 KBS의 중계소가 세워졌다. 불모산과 팔판산은 바로 접하여 있어 대개가 하나의 산으로 보는 경우가 많은데 각각의 산이다. 창원에서는 불모산이 잘 보이고 장유면에서는 팔판산과 불모산을 같은산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불모산의 북쪽이며, 추월산(秋月山)의 정상으로서 장유면과 진례면 및 창원시와 경계가 되는 산이다. 용제봉(龍蹄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기우단(祈雨壇)이 있었다. 이산에 나는 용이 하늘로 올라가는 비룡상천형(飛龍上天形) 모양의 명당이 있어 당대에 발관(發官)할 자리라고 전하고 있다고 함.
예종때 지리지에 장유사는 선종(禪宗)에 속한다고 나와있다. 가락국때 허왕후의 아우 허보옥(許寶玉)은 아유타국으로부터 후(后)를 수행해 와서 부귀를 부운(浮雲)과 같이 보고 이 산에 불교를 설경하기 위하여 들어 왔다가 길이 노닐면서 돌아가지 않았다(장유불반長遊不返)고 장유화상(長遊和尙)이라 부른다. 그 뒤 절을 장유사라고 한 것이니 우리나라에서 불교가 처음 전래되었던 가락불교의 요람이다. 장유사가 있는 산은 추월산(秋月山)이다(조선환여승람 김해편 참고)
대청리 상점마을에서 장유사로 가는 도중에 있다. 폭포 그 자체보다는 주변의 경치가 수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