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김해 펼침 수산물 방사능 안전정보 본문상단으로 이동

개요

장유는 오랜 역사의 향기가 깃들어 있는 고장이다.
오래전 가락국 시조인 수로왕(首露王)의 처남 허보욱이 허왕후를 따라 이 나라에 와서 이곳 장유에 절을 세우고 오랫동안 머물러 돌아가지 않다가 입적(장유불반 : 長遊不返)하여 후세에 장유화상(長遊和尙)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장유산(지금의 태정산) 부근에 마을이 형성되자 ‘장유촌(長遊村)‘이라는 지명이 생겼고 이곳에 절을 세우고 절 이름을 ’장유사(長遊寺)‘라 하였다. ’유하촌(柳下村)‘은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유지앵소(柳技鶯巢 : 버드나무 가지에 있는 꾀꼬리 집)의 명당자리가 있다하여 불렀다고 전하는 반면에, 지명을 연구하는 학자는 김해부의 서쪽에 있는 들 부근에 형성된 마을에서 ’유등야(柳等也)‘라는 지명이 생겼다고 주장한다. 지금의 삼문리 능동 마을은 가락국시대 임금의 능(陵)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곳이며 젤미마을 아파트 지역 일부는 신라말기부터 향, 소, 부곡이라는 특수 부락의 하나인 ’제을미(齊乙彌, 젤미) 鄕‘이라고 불렀던 곳이다.
고려시대에는 ‘제을미향’, ‘장유촌’, ‘유하촌’의 세 마을로 형성되었고, 조선시대 광해군 8년부터 효종 7년까지 41년 동안(1616~1656)에는 지금의 신문리 용산(옛날 이름은 진골 : 鎭谷) 마을에 ‘신문진(新門鎭)’이 설치되어 경상도의 국방요지가 되었다. 조선중기 여지도서(與地圖書 : 1757~1765)의 김해진김해도호부(金海鎭金海都護府)에서는 ‘유등야면(柳等也面)’이, 호구총수(戶口總數 : 1789)에서는 유등야면에 말단 행정구역으로 18개 리(里)가 속한다고 처음으로 기록에 등장한다.
그 후 1810년(순조 10년)에 ‘유하면(柳下面)’으로 고쳤다가 1879년(고종 16년)에 다시 ‘유등야면(柳等也面)’으로 고치고 1885년(고종 22년)에 ‘장유면(長有面)’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1888년(고종 25년)에는 장유면(長有面) 8개 리(부곡, 유하, 내덕, 무계, 대청, 삼문, 신문, 관동)와 수남면(水南面) 4개 리(율하, 장유, 응달, 수가)로 분리되었다가 다시 1914년에 수남면이 장유면에 합병되었다. 그 후에 부산경남공동경마장을 조성하면서 2000년 1월 12일 수가리 ‘가동’ 마을이 부산시 강서구 범방동에 편입되고, 부산시 강서구 범방동 ‘장전’ 마을은 장유면에 편입되었다.

연혁

  • 고려시대 : 장유촌(長遊村)+ 유하촌(柳下村)+ 제을미향(齊乙彌鄕)
  • 조선중기 : 유등야면(柳等也面)
  • 정조 13년(1789년) : 18개리 설치[북포(北浦),하손(下孫), 부곡(釜谷), 유등야(柳等也), 내덕(內德), 외덕(外德),거물소(巨勿所), 신문(新門), 건림(件林), 대청(大淸), 제며(濟旀), 상점(上店),사기점(沙器店), 덕정(德亭),적항(赤項), 관동(寬洞), 장유(長遊), 태장(台長)]
  • 순조 10년(1810년) : 유하면(柳下面)
  • 고종 16년(1879년) : 유등야면(柳等也面)
  • 고종 22년(1885년) : 장유면(長有面)
  • 고종 25년(1888년) : 장유면(長有面) 8개리, 수남면(水南面) 4개리로 분리
  • 1914년 : 장유면(長有面) 12개리 통합[수남면(水南面) 흡수]
  • 2000. 1. 12 : 부산시 강서구 범방동 장전(長田)마을이 김해시 편입, 수가리 가동마을 부산시 강서구 편입
  • 2013. 7. 1 : 장유면 3개동으로 분동
    • 1동 (유하동, 내덕동, 부곡동, 무계동, 신문동)
    • 2동 (삼문동, 대청동)
    • 3동 (장유동, 관동동, 율하동, 응달동, 수가동)
  • 2015. 12. 24 : 신청사 개청
옛 시가지 사진 - 장유 옛 시가지 사진 - 장유
1990년 용지봉에서 바라본 장유면 전경 1990년 용지봉에서 바라본 장유면 전경
2002년 장유시가지 전경 2002년 장유시가지 전경

우리마을의 특징

  • 장유 1동은 예부터 장유 발전의 중심지였고, 부산, 창원, 양산과 밀양시를 연결하는 장유 IC와 서김해 IC의 길목에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여 접근성이 좋음.
  • 김해관광유통단지와 산업단지 , 각종 은행 등이 위치하고 있어 산업·경제·관광의 중심지 역할을 함.
  • 용지봉 아래 바위공원, 가마실공원, 장유체육공원 등 도심 속의 동민의 휴식처가 있어 위치하고 있음.

지명유래

유하리(柳下里) → 유하동(柳下洞)

장유면에서 가장 오래된 마을로 여기에서 유하면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1914년에 상후포, 하후포, 하손 3개 마을과 무계리 일부를 병합하였다.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버들가지에 꾀꼬리의 집 모양(柳枝鶯巢 : 유지앵소)의 명당이 있어 자손이 많고, 6명이 과거에 급제할 자리라 하여 ‘유하’라는 명칭이 생기게 되었다고 전한다. 그러나 지명을 연구하는 학자들은‘김해의 서쪽들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우리 말 뜻을 한자로 빌려‘유하’라는 지명을 사용하였다고도 말한다.

  • 유하(柳下)
  • 하손(下遜)
  • 후포(後浦)

[유적지, 기념물] 柳下古墳, 也庵金鍾烜 紀蹟碑, 志士 金龍伊墓, 柳下貝塚, 烈女金氏碑, 義士 龍岡 崔鉉浩 紀蹟碑

※ 참고자료 : 증보 김해지리지(이병태 저. 1996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민긍기 저. 2005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전설(이홍숙 저. 2008년 김해문화원 발행)

내덕리(內德里) → 내덕동(內德洞)

옛날 ‘용덕리(龍德里)’였는데 철종(哲宗) 3년(1852년)에 ‘덕촌리(德村里)’라고 부르다가 1914년에 유하리(柳下里) 일부를 병합(倂合)하면서 ‘내덕리’가 되었다. 조만강(潮滿江)으로 김해시 명법동, 주촌면(망덕리)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옛날부터 둑이 있었기 때문에 덕(德) 마을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하고, 지명을 연구하는 일부 학자는 ‘중심이 되는 마을’이라는 우리말 뜻에서 한자를 빌려 사용하였다고 말한다.

  • 내덕(內德)
  • 사덕(沙德)
  • 용두포(龍頭浦)
  • 외덕(外德)
  • 해평원(海坪院)
  • 용두산(龍頭山)

[유적지, 기념물] 三一運動紀念塔, 洛雲 金升泰志士墓

※ 참고자료 : 증보 김해지리지(이병태 저. 1996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민긍기 저. 2005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전설(이홍숙 저. 2008년 김해문화원 발행)

부곡리(釜谷里) → 부곡동(釜谷洞)

조선 예종 때 지리지에 기록되어 있는 ‘부량곡리(釜良谷里)’이며 그 뒤 ‘부곡리’로 고쳤고 1914년 냉정리를 병합하였다. 풍수지리설에 따르면 부곡 4리 가운데 넓은 도로 아래에 엎어놓은 가마솥 모양(복부형 : 伏釜形)의 명당이 있어 효자, 열녀와 거부(巨富)가 나올 자리라 하였고, 금가마를 거꾸로 걸어놓은 모양(金釜倒懸形 : 금부도현형)의 명당도 있다고 한다. 그러나 지모신(地母神 : 천신이 지상으로 내려와 대지와 결합하여 세계의 질서가 내재되어 있는 대지)이 깃들어 있는 곳에 마을이 형성되어 있어 ‘중심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에서 생긴 지명이라는 주장도 있다.

  • 부곡(釜谷)
  • 죽곡(竹谷)
  • 신전(新田)
  • 냉정(冷井)
  • 사터(射터)

[유적지, 기념물] 孝子 通政大父 金正敎碑, 尹殷臣 3代 施惠碑, 射터, 密城 朴氏烈女碑

※ 참고자료 : 증보 김해지리지(이병태 저. 1996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민긍기 저. 2005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전설(이홍숙 저. 2008년 김해문화원 발행)

무계리(茂溪里) → 무계동(茂溪洞)

‘대청천(大淸川)’과 ‘핏내(稷川)’ 등 여러 개울이 많이 있다고 하여 생긴 지명이다. 그러나, 민긍기의 ‘김해의 지명’과 이홍숙의 ‘김해의 지명전설’에서는 ‘중심 마을인 부곡리의 남쪽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우리말 뜻을 한자로 빌려 생긴 지명이라 한다. 1914년에 수남면이 장유면에 병합되고 12개리로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광석암(廣石岩)을 합하여 무계리가 되었다. 1934년에는 내덕리에 김해시와 연결되는 정천교(正川橋)가 가설된 뒤 신문리에 있었던 5일장 신문장(新文場)을 이곳으로 옮겼고, 1937년에는 신문리(新文里)와 연결되는 무계교(茂溪橋)를 건설하였다. 1914년에는 장유면사무소, 1922년에는 보통학교(지금의 장유초등학교 전신), 1926년는 우체국, 1931년에는 금융조합(金融組合)이 설치되어 장유면의 중심이자 김해시 서부의 중심지가 되었다.

  • 무계(茂溪)
  • 직천(稷川)
  • 광석암(廣石岩)

[유적지, 기념물] 茂溪里 支石墓(지방기념물 제151호)

※ 참고자료 : 증보 김해지리지(이병태 저. 1996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민긍기 저. 2005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전설(이홍숙 저. 2008년 김해문화원 발행)

신문리(新文里) → 신문동(新文洞)

이곳에 신문진이 있었기 때문에 ‘신문리(新門里)’라고 불렀다가, 신문진(新門鎭)이 웅천현(熊川縣 : 지금의 진해시 웅천동)으로 옮겨 간 뒤 ‘新門’에서 ‘新文’으로 지명이 바뀐 듯하다. 1914년에는 봉림리, 용산리와 삼문리 각 마을 일부를 倂合하여 ‘신문리(新文里)‘가 되었고, 1934년 이전까지 5일장 신문장(新門場)이 지금의 대알산 위에서 열렸었다. 민긍기의 ‘김해의 지명’과 이홍숙의 ‘김해의 지명전설’에서는 ‘반룡산의 동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우리말 뜻에서 한자를 빌려 ‘신문리’라 불렀다고 한다.

  • 신문(新文)
  • 상봉림(上鳳林)
  • 하봉림(下鳳林)
  • 용산(龍山)
  • 범동포(凡東浦)
  • 반룡산(盤龍山)
  • 효자등(孝子嶝)

[유적지, 기념물] 龍山古墳群, 龍山貝塚, 孝子嶝

※ 참고자료 : 증보 김해지리지(이병태 저. 1996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민긍기 저. 2005년 김해문화원 발행), 김해의 지명전설(이홍숙 저. 2008년 김해문화원 발행)


페이지담당 :
장유1동 총무팀
전화번호 :
055-359-757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