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번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It is under automatic translation using Google translation system. The result may not be accurate.



청소년대상 성범죄사례

청소년대상 성범죄 발생현황

검찰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00년도 성폭력 범죄는 9,775건으로서 '95년 6,093건보다 60.4%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13세 미만 청소년에 대한 강간사범은 '98년 218건, '99년 433건, 2000년 594건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전체 강간 피해자 중에서 20세 미만이 39.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000년 범죄백서)

2000. 7월부터 [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이 시행되면서 2001년 6월까지 1년간 동법률 위반 사범이 2,815건이나 단속되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청소년 성매매 등, 청소년을 성적 이용 대상화 하려는 잘못된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바 한국청소년상담원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청소년 중 2%가 실제 성매매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2001년 7월 경기지방결찰청 설문조사에 따르면 경기도내 실업계 여고생과 여중생의 24%가량이 성인 남성으로부터 청소년 성매매 제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그 심각성을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성범죄 피해청소년의 문제

청소년 대상 성범죄는 해당 청소년에게 돌이킬 수 없는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남깁니다. 자발적으로 가담하게 되는 청소년 성매매의 경우에도 역시 신체적, 정신적 피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임신.출산과 성병 감염 등 일반적 신체 변화 이외에도 여러가지 피해를 겪게 되는데, 한국청소년상담원의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성매매 후 일어난 정서적 변화로는 '장래 배우자 및 부모님에 대한 죄책감' 31.4%, '기억으로 인한 고통' 25.7%, '나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이 줄어듬' 20%로, 청소년들이 성매매로 인한 후유증으로 자기파괴적 성향을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청소년기의 여학생들은 아직 신체적.정서적.인지적으로 성에 대해 미성숙한 상태일 뿐만 아니라 이성적 가치판단도 미흡하기 때문에 성매매를 통해 잘못된 성의식을 자질 수 있고, 이 시기의 건전한 신체상(body image)의 형성에도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성매매로 인해 형성된 사회에 대한 불신과 왜곡된 가치관은 결국 사회 전체적으로도 큰 손실을 가져오게 됩니다.

청소년대상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란?

신상공개제도
청소년대상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는 청소년의 성을 사는 행위 등[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이 정한 범죄행위를 범하고 형이 확정된 자에 대하여 청소년보호위원회가 당해 범죄자의 신상을 공개하는 행정행위를 말합니다.

신상공개제도는 아직 성숙하지 않은 청소년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주는 성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로, 청소년 대상 성매수, 강간, 강제추행, 매매춘 알선등의 성범죄행위의 예방에 목적을 두고 운영되고 있으며, 2000년 7월 [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의 시행에 따라 우리나라에 도입된 제도입니다.

청소년보호위원회는 매년 2회, 즉 반기별로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에 대한 형확정자의 관련자료를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아, 심사 당사자의 의견접수 2차 심사 확정 행정심판. 소송 등 90일간의 구제절차→공개등 소정의 절차와 엄격한 심사를 거쳐 공개 대상자의 성명.연령.생년월일.직업.주소 및 범죄사실의 요지를 포함한 신상을 계도문과 함께 전국에 걸쳐 게시.배포합니다. 신상이 포함된 계도문은 관보 게재 외에 청소년보호위원회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6월간 게재하고, 정부중앙청사 및 시.도의 게시판에 1월간 게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청소년 대상 성범죄자 신상공개

신상고개의 대상

[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에 규정된 신상공개 대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청소년 성을 매수한 자
  • 청소년 매매춘 업주
  • 아동 포르노그라피 제작.수입.수출자
  • 청소년 인신 매매범
  • 청소년 대상 성폭력범등

이상의 범죄행위를 범하고 형이 확정된 자에 대하여 청소년보호위원회가 심사를 거쳐 당해 범죄자의 신상을 공개하게 됩니다.

신상공개의 내용

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 시행령에서는 청소년대상 성범죄자의 신상공개 내용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 성명(한글, 한자병행), 연령 및 생년월일, 직업(판결문기준), 주소(시.군.구까지), 범죄 사실의 요지
  • 당초 제도 도입을 위한 공청회 등에서는 사진, 주민등록번호, 주소(번지까지)등도 공개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범죄자의 인권도 보호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배제하였습니다.
성범죄자 알림이 바로가기

페이지담당 :
아동청소년과 청소년팀
전화번호 :
055-330-2651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


굿 콘텐츠서비스 Good Content Service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EB 접근성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2022.07.19~2023.07.18(WA인증마크), 새 창으로 열립니다.
작성자 (연락처/저작권)
50924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 2401(부원동) 김해시청 민원콜센터 : 1577-9400 (유료),055-330-3114
TOP